통풍은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무서운 질병입니다. 이 글에서는 통풍의 기본적인 정보부터 다양한 치료법, 그리고 제가 직접 겪은 경험까지 소개하려고 합니다.
통풍이란?
통풍은 고요산혈증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관절에 큰 통증을 주는 질병입니다. 요산이 과도하게 몸에 축적되면서 발생합니다.
원인과 증상 | |
원인 | 증상 |
고요산혈증 / 유전적 요인 / 식습관 / 알코올 섭취 / 비만 | 급격한 통증 / 관절의 붓기 / 열감 / 피부의 붉은 두드러기 |
나의 통풍 경험
7년 전 처음 통풍으로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 이후로 주기적인 통풍 발작과 함께 여러 번의 입원 치료를 겪었습니다. 현재는 상태가 많이 안정되어 급성 발작의 주기가 길어지고 있고 일상적인 생활에 지장이 없이 지내고 있으나, 항상 상비약(팩소스타정)을 가지고 다니며 민간 요법으로 개다래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통풍 치료법
약물 치료
< 요산 강하제 - 혈중 요산 농도를 낮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
알로푸리놀: 혈중 요산 수치를 낮추는 작용을 하는 Xanthin oxidase 억제제입니다. 통풍, 고뇨산혈증, 요산 신장병증 등을 치료합니다. 부작용으로는 스티븐 존슨 증후군, 구내염, 설사, 경련, 식욕부진 등이 있습니다. |
페브릭정: 통풍환자에서의 만성적 고요산혈증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하고, 졸림, 어지러움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운전 및 기계조작시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임산부,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수유부는 의사에게 미리 알려야 합니다. |
벤즈브로마론: 요산 배설을 촉진하는 약물입니다. 고요산혈증 치료에 사용되며, 부작용으로는 구역 등이 있습니다. |
< 요산 생성 억제제 - 요산의 생성을 억제하여 혈중 요산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펙소스타: 통풍환자에서의 만성적 고요산혈증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의약품입니다. 주로 펙소스타정40mg으로 복용하며, 부작용으로는 구역, 관절통, 발진 등이 있습니다. |
프로베네시드: 요산의 생성을 조절하는 우리코스린화효효소를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고요산혈증 치료에 사용되며, 부작용으로는 구역, 발진 등이 있습니다. |
민간 요법
◈ 개다래: 요산 수치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 체리 주스: 염증을 완화시켜 통증을 줄여줍니다.
◈ 사과 식초: 알칼리성을 높여 요산을 중화시킵니다.
◈ 계피: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요산 수치를 조절합니다.
◈ 생강: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 마늘: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요산 수치를 조절합니다.
◈ 레몬 물: 알칼리성을 높여 요산을 중화시킵니다.
예방법과 식단
통풍 예방법
⊙ 체중 관리: 과체중이 통풍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려면 꾸준한 운동과 건강한 식단이 필요합니다.
⊙ 수분 섭취: 충분한 수분 섭취는 요산을 효과적으로 배출해줍니다. 하루에 최소 2리터 이상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알코올 제한: 알코올은 요산 수치를 높이므로, 특히 맥주와 와인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도 통풍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꾸준한 운동이나 명상 등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세요.
⊙ 정기적인 검사: 요산 수치는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풍과 식단
⊙고단백 음식 제한: 적색 육류, 해산물 등 고단백 음식은 요산 수치를 높이므로 제한해야 합니다.
⊙ 채소와 과일 섭취: 채소와 과일은 알칼리성이므로 요산을 중화시켜 줍니다. 특히, 체리, 파인애플, 오렌지 등이 좋습니다.
⊙ 저지방 식품: 저지방 우유, 요구르트 등은 통풍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전분류: 밥, 빵, 파스타 등 전분류는 적당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카페인 제한: 카페인은 요산 배출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커피와 차의 섭취를 제한하세요.
결론
통풍은 예방과 관리가 중요한 질병입니다. 약물 치료뿐만 아니라 생활 습관과 식단 관리도 중요하므로,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관리를 잘하셔서 통증 없는 생활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톱 깨졌을 때 대처법과 예방법 (0) | 2023.10.06 |
---|---|
물설사 멈추는 긴급 대처법과 음식 (0) | 2023.10.04 |
다한증 - 원인부터 치료까지,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1) | 2023.09.24 |
불면증 극복, 실생활에서 적용 가능한 예방과 자가 관리 전략! (0) | 2023.09.22 |
탈모 예방 & 탈모 관리 - 모든 연령대를 위한 최신 탈모 방법 (0) | 2023.09.19 |
댓글